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Galileo Gen2
- openocd
- ubuntu
- 갈릴레오
- emIDE
- QT
- U-boot
- STM32F10x
- lg smart recovery
- usb부팅
- Boyue
- fdisk
- Cortex-M3
- 동부로봇
- CMSIS
- galileo
- DRS-0101
- Z435
- JTAG
- pyside6
- Marsboard
- 우분투
- ICbanq
- 허큘렉스
- HerkuleX
- smartrobot board
- Python
- 마스보드
- ares note
- ft2232
- Today
- Total
Life Seed
SSH를 이용한 폴더 공유 (SSHFS) 본문
SSH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버 처럼 사용할 수 있다.
기존의 삼바에 비해 설정이 간단하다는 점, 그리고 Local Network이 아니라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일 수 있겠다.
우분투에서 접속하는 방법은 서버에 연결이라는 메뉴를 통해 SSH 프로토콜로 연결만 하면 된다.
윈도우 용은 win-sshfs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설치해야 될 사항들이 있다.
1. win-sshfs 다운로드
https://code.google.com/p/win-sshfs/ 에 접속하여 Download 혹은 왼쪽 중간에 있는 최신 릴리즈 파일을 다운로드 받자.
:: https://code.google.com/p/win-sshfs/downloads/detail?name=win-sshfs-0.0.1.5-setup.exe
2. dokan library 설치
http://dokan-dev.net/en/ 의 download에 접속하여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는다.
:: http://dokan-dev.net/wp-content/uploads/DokanInstall_0.6.0.exe
3. .NET Framework 설치
우선 win-sshfs 설치파일을 실행하면 필요한 라이브러리에 대한 체크페이지가 나온다.
이때 .NET Framework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, .NET Framework를 설치후 다시 win-sshfs를 설치하도록 한다.
4. win-sshfs 설정
Driver Name :: 사용자가 설정하는 폴더 이름
Host :: 원격으로 접속할 서버 주소
Port :: ssh port number 기본적으로 22이나, 서버의 설정에 따라 다른 값이 될 수 있다.
username : 접속 ID
Authentication method :: 접속 방법에 대한 내용. user id에 대한 password 를 이용하거나 , ssh key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.
Directory : 접속시 초기 Directory . 으로 설정하면, home directory로 접속된다.
Driver Letter :: 접속시 Mount할 Driver Name. 왜 Y까지만 있는건지... 내가 좋아하는 Z가 없다. ㅠㅠ
Mount at login 이라는 체크 박스가 있는데, 이는 Window login시 자동으로 Mount를 할지 물어보는 내용.
짜잔... 이제 사용하면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