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Z435
- Marsboard
- U-boot
- Python
- 동부로봇
- emIDE
- ubuntu
- Boyue
- smartrobot board
- 갈릴레오
- STM32F10x
- HerkuleX
- QT
- usb부팅
- DRS-0101
- 우분투
- ICbanq
- 허큘렉스
- galileo
- pyside6
- lg smart recovery
- ares note
- JTAG
- CMSIS
- ft2232
- 마스보드
- fdisk
- Galileo Gen2
- Cortex-M3
- openocd
Archives
- Today
- Total
Life Seed
우분투에 APM (Apache, PHP, MySQL) 웹서버를 설치하자 본문
1. Apache 설치
$ sudo apt-get install apache2
2. PHP5 설치
$ sudo apt-get install php5 libapache2-mod-php5
3. MySQL 설치
$ sudo apt-get install mysql-server
- 설치시 root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부분이 나온다.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넘어가자.
4. phpmyadmin
$ sudo apt-get install phpmyadmin
아파치 웹서버를 다시 시작하자.
$ sudo /etc/init.d/apache2 restart
http://localhost 입력시 아래의 문구가 보이면 웹서버가 잘 설치 된 것이다.
It works!
This is the default web page for this server.
The web server software is running but no content has been added, yet.
>> 웹 접속시 기본적으로 접근하는 Directory
/var/www/
>> Apache 설정 파일
기본적인 위치 :: /etc/apache2/
해당 폴더의 apache2.conf 에 기본적인 환경을 설정하고 있다.
웹 접속시 기본적으로 접근하는 Directory는 해당 파일의 가장 아래 부분에 Include 되어 있는 sites-enabled/ 의 000-default 에 기술되어 있다.
반응형